[동양철학사] 2 - 도가, 법가
도가 - 무위자연, 제물의 경지 *도가 - 노자(도덕경),장자(호접몽,나비의꿈-내가 나인지 나비인지 믿을수 없다, 無我 vs 데카르트-모든것을 의심해도 의심하고 있는 나는 의심할수 없다,방법적회의(방법적회의),여기서부터 절대적진리가 시작한다) *장자 : 1. 상대론적 인식론(장주지몽) - 무아(내가바라보는 인식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깨닫자) - 상아喪我를 해야한다(나를 떠나보내야한다) 2. 생태학적 관점(흙에서와서 흙으로 돌아감) 불교 : 집착때문에 고통스럽다가 기본교리 *노자 : 무위자연(=스스로 그러함, 저절로 그러함, 아무런 꾸밈이 없는 상태, 道) -> 인위적인 사회제도를 만나게되며 위가 발생 -> 무정부주의 도가의 핵심사상 : 위정자들이 예를강조하면서 비례가 생기니 사회가 혼란하게 되는것이다. 의..
더보기
[동양철학사] 1 - 유가(공자,맹자,순자)철학사
춘추전국시대(BC770~BC221) 제자백가 : 제(모든),자(위대한사람에게 붙치는 칭호,한국에서는 송시열-송자),백가 - 수많은 학파 철학가나 도덕자 뿐만아니라 현실정치학자에게도 붙였다. 유가 - 공자, 맹자 도가 - 노자, 장자 묵가, 법가, 음양가, 합종가, 명가 *유가 : 공자, 맹자, 순자 춘추시대 초기 : 노자와 공자, 묵자와 공자가 대립하는 사상을 가졌다. 전국시대로 넘어가면서 묵자를 비판하는것이 맹자. 유가와 묵자가 싸운것이 유묵논쟁. 이후 유가와 묵자가 모두 틀렸다고 말하는 장자가 나옴.(전국시대 초엽,맹자와 장자) 맹자(성선설)에 대한 전면비판하는 순자(성악설)의 등장.(전국시대 말엽,순자) 맹자와 순자의 공통점은 인간의 본성은 미리 결정되어있다는것이고 이에 반대되는것은 고자(성무선악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