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진기의 인문학강의/경제사

[세계경제의 현위치] 미국 / 황금과 깡통의 미국경제 & 서브프라임 이후, 미국경제 / 2013년 기준.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4대 경제축 : 미국, EU, 중국, 일본.

 

서프프라임 모기지론이 터지기 이전.

 

화폐 = 면 75% 비단 25%

금화로 만든 화폐 = 실물화폐,

현재 우리가 쓰는 화폐 = 명목화폐.

항상 금으로 바꿔주는 화폐 = 태환화폐, 그 반대가 불환화폐

 

환율

 

시장에서 매일 바뀌는 환율 : 변동환율제도.

정부가 묶어놓는 환율 : 고정환율제도.

 

4대 사건.

 

1. 2차대전의 종전과 브래튼우즈 합의(1944)

 

1차 세계대전이 끝난후 미국이 영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대국으로 떠오른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에는 전세계 GDP의 반을 미국이 차지한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전 미국의 브래튼우즈에 모여 가장 영향려이 강한 미국이 당시 72%의 금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기준화폐가 달러가 되어,  35$당 금1온스를 바꿔주기로 합의한다.

 

전세계가 모두 고정환율제도를 한다.

 

정리하면 35$를 금 1온스에 묶어놓은후, 세계화페를 달러기준에 고정환율을 시키는것이다.

그리하여 IMF는 고정환율제도를 유지하기위해서 설립되고, 세계은행도 설립된다.

 

영국대표로 케인즈가 참석하여 문제가 될수 있다고 우려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통화바스킷 제도-

1$+1위안+1엔+1원 = 1새로운 돈의 단위.

 

-트래핀의 역설-

미국의 제외하고 나머지 국가간 거래를 할때 역시 달러가 필요하다. 하지만 나머지 국가에는 달러가 없기때문에 미국의 달러가 필요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미국은 자연스레 수입을 하는 국가가 된다. 미국이 수출을 해버리면 달러를 다시 모으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브래튼우즈 체제가 존재하는 한에서는 미국은 기본적으로 수입국가가 될수밖에 없다. 그결과 미국은 무역 적자국이 된다. 수입국가(무역적자) -> 미국의 달러 찍어냄 -> 달러의 공급과잉 -> 달러의 가치하락(평가절하) 하게 될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여기서 문제는 달러의 가치가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고정환율로 묶어두었기때문이다.

 

달러의 가치가 평가절하 -> 수출증가가 되면서 시장의 조절기능이 자동적으로 작동 되어야하는데 브래튼우즈체제때문에 그럴수 없게된다.

 

그이유- 1$ = 1000원에서 2$ = 1000원 으로 달러의 가치가 낮아지면, 기존에 미국에서 10$짜리 제품을 우리나라에서 10000원에 사는것이 5000원이면 살수 있기때문에 수출이 증가한다.

 

-정리-

2차세계대전이 끝난후 미국을 중심으로한 브래튼우즈 체제가 합의되고, 미국 달러를 태환화폐체제로 유지를 하고, 세계 모든화폐를 미국달러에 고정환율제도를 도입하고, 이것의 문제를 제시한것이 트래핀의 역설이고, 영국의 케인즈가 통화바스킷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했었다.

 

2. 베트남 전쟁의 발발과 닉슨쇼크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로 전쟁에서 승리한적이 없다.

 

베트남전을 위해서 돈이 필요하게되어 국민들로 하여금 돈을 모으는 재정수입(세금)보다 재정적자(전쟁지출)가 심해진다.

 

결국 무역적자와 재정적자, 즉 쌍둥이 적자상태로 빠지게 된어 돈을 계속 찍어내야되는 상황이 된다.

 

닉슨 1. 닉슨 독트린 -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의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 탁구치며 핑퐁외교.

       2. 닉슨 쇼크 - 낌새를 챈 프랑스가 먼저 금 내놔라고 했을때 못준다고 한 사건. 

 

오일쇼크의 이유 1. 오펙 - 중동의 석유 독점.

                       2. 근본적인 이유 : 닉슨쇼크

 

1차 오일쇼크 - 이집트와 이스라엘, 즉 중동전쟁이라는 정치적 배경.

2차 오일쇼크 - 이란에서 팔레비 왕조를 내쫒으며 스라엘 근본주의 혁명의 성공이라는 정치적 배경.

이 모든 근본에는 닉슨쇼크가 자리잡고 있다.

 

 

3. 오일쇼크로 인한 스테그플레이션과 볼커(FIB 은행장)의 인플레 파이팅

석유가격 상승 = 물가 상승.

스테그플레이션 = 경기침체 + 물가상승

 

볼커의 고금리 정책 -> 1. 제조업의 붕괴와 금융업 발달 2.$가치 평가절상(타통화를 달러로 바꿔 저금하고 싶어하기때문)

 

-프라자합의-

미국의 압박으로 일본의 엔화를 강제적으로 평가절상시켜 미국의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이려는 합의.

 

 

4. 그린스펀과 신경제의 등장

 

골디락스 -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 성장률은 높은상태

골디락스의 배경에는 그린스펀의 저금리 정책이 있었다.

 

그린스펀의 풋의 비밀 - 금융, 제조업에서 고위험 정책을 유지 시키도록 풋을 이용하여 위험을 감소해줌. 위기가 있을때마다 금리를 낮춰 줌으로써. 그결과 미국에 IT 버블이 일어난다.

 

또한 제로금리시기에 미국 부동산 가격의 폭발로 이루어졌다.

 

한국이 IMF라면 미국은 금융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