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진기의 인문학강의

[현대사상가] 1 - 사무엘헌팅턴 *사무엘헌팅턴(1927~2008) -미국보수정치학계의 대표학자 -1996년 문명의 충돌 출간 -"국가간 무력충돌이 발생하는 것은 이념의 차이가 아니라 전통, 문화, 종교적 차이때문" 일탈은 급변기, 점이지대, 이주민에 발생한다. 정보화, 가리봉동, 조선족인들을 예비범죄자로 간주한다. *장 폴 사르트르 - 1905~1980 - 프랑스 철학가, 작가 - 슈바이처 박사의 오촌 조카 - 프랑스 고등사범학교 수석 - 1939 2차 대전 참전, 40년 포로 탈출, 대독문학항전운동 - 소설 '구토', 철학 '존재와 무' 본질 - 사물의 특성 : 전교 1등, 착하다 존재 - 사물 그 자체 : ㅇㅇㅇ의 아빠, ㅇㅇㅇ의 연인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 -> 이것이 참된 인간이다. *본질이 존재에 앞서는것 -> 사물. 자본주.. 더보기
[서양철학사2] 3 - 헤겔, 마르크스 *헤겔(1770~1831) 헤겔철학의 목표 : 국가를 최고의 지위에 올려놓자(국가주의) 헤겔은 국가를 절대정신으로 본다. 역사는 절대정신의 자기 전개과정이다. 국가주의 : 완벽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헤겔은 개인의 자유의 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국가의 발전과정이 개인정신의 발달 과정이라고 보며 국가의 성립부터 역사의 시작이라 보았다. *변증법* - 모든 사물은 변화, 발전한다. - 모든 사물은 모순(자기실현이 자기소멸인 상태)을 가진다. - 양적변화가 축적되면 질적전환이 일어난다. 지양 = 한단계 더 발전하기 위한 자기부정 정-성부-계란- 반-성자-계란을 깨고 나올때 합-성신-계란을 깨고 나온 병아리 어떤 대상으로 부터 낯섬을 느끼는것이 소외이다. 사회,역사적 윤리교육 .. 더보기
[서양철학사2] 2 - 공리주의 공리주의 존스튜어트 밀(질적 공리주의) : 배부른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 아버지가 제임스 밀, 아버지의 친구가 밴담, 아버지의 혹독한 교육으로 어린시절이 없었다고 한다. 영국 사회주의자라고 불리고, 차티스트 운동을 이끈다. 자신의 부인을 굉장히 사랑함. 제레미 밴담(양적 공리주의) : 최대다수의 최대의 행복 -> 유언 박제해달라고 한다. 신흥상공업자가 산업자본가로 산업혁명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시민혁명으로 민주주의가 시작되므로써 근대사회가 된다. 산업자본가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등장한다. 1. 자유주의 - 아담스미스 -> 시장만능주의 -> 빈부격차 심화 2. 공리주의 - 벤담, 밀 3. 사회주의 - 마르크스(1818~1883) *공리주의(힘들여 .. 더보기
[서양철학사1] 4 - 중세철학, 근대철학 중세철학 중세 : 서로마 멸망(476년)부터 ~ 동로마 멸망(1453)까지의 천년중세. 중세 : 인간(이성,철학) 종교의덕(믿음, 소망, 사랑), 목적론적 인간관(하느님이 우릴 쓰실 목적에 있어 만들었다) -> 그리스철학을 이용하여 교리의 체계화 시키는데 일조한다. "신학" 구약성경, 창세기 - 태초에는 신(GOD, 유일신, 인격신)과 혼돈만 존재.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서 신이 인간의 모습을 하고 나옴. 인간중심의 사고로 돌아감. 르네상스의 시작. 신이 인간에게만 자유의지를 줌. 그것을 남용하고 .. 더보기
[서양철학사1] 3 - 헬레니즘 시대 넓은 의미의 헬레니즘 시대 : 그리스.로마 시대 좁은 의미의 헬레니즘 시대 : 그리스가 붕괴되고 로마가 유럽의 패권을 장악하기 전 시대. 이 시대를 열었던 사람은 알렉산더이다. 서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개의 책을 꼭 읽어야 한다 : 성경(신성)->헤브라이즘 사고, 그리스.로마 신화(이성)->헬레니즘 사고 *모든 정복자는 독재자이다* 헬레니즘 : 세계시민적, 전쟁의 시대. 전쟁 : 생존, 개인주의의 등장. 이때의 개인주의는 검소, 소박한 개인주의. 개인의 안심입명의 경지에 들어가고 싶어함. 헬레니즘 시대 : 1. 에피쿠로스 학파 - 2. 소타아 학파 - 공회당에 모여 토론하는 학파 그중 유명한 사람이 제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키레네 학파 : 육체적 쾌락을 중시. 에피쿠로스가 키레네를 비판... 더보기
[서양철학사1] 2 - 플라톤 *플라톤 - 이상주의자, 관념주의의 아버지* 화이트 헤드 : 모든 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주석에 불과하다 현실세계(고등학교,경험세계)와 IDEA(서울대,이성세계)로 나눈다. -> 플라톤은 이성을 중시한다. 아무도 꽃을 그릴수없다. 우리는 다만 튤립, 장미, 해바라기를 그릴뿐이다. 꽃은 우리의 관념에 있다. 현상이 중요한것이 아니다 사물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질이 필요하다. 공간,현실,경험 - 면 - 선 - 점(이데아) -> 이데아 없이 현실을 설명할수 없다. 동굴 안의 죄수의 비유 : 책(IDEA,내세) 그림자(현실,현세) -> 이원론 -> 중세기독교(하느님을 빛으로 표현, 본질은 볼수없고 경험만 있을뿐) 현실세계 -> 이데아(궁극,영원,아름다운곳) 이를 위해선 정의로운 인간이 되어야한다 : 목.. 더보기
[서양철학사1] 1 - 소피스트 *소피스트 인류 최초의 철학자 - 자연철학자 : 자연의 근본을 찾는다. 1. 탈레스 -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 일식과 월식주기, 피라미드 높이, 맞꼭지각 크기가 같다. 2. 헤라클라이토스 - 만물의 근원은 불이다. 3. 데모크리토스 - 만물의 근원은 원자다. -> 만물은 환원될수 있다. 환원주의자. 유물론의 아버지 4. 피타고라스 - 만물의 근원은 수이다. 그리스 철학 : 특정 도시국가를 중심으로한 인간중심의 철학 그리스에서 인간중심의 철학이 등장한 이유 : 그 이전에는 농경문명에서 자연이 더 중요했기 때문, 그 배경이 아테네의 상업이라고 볼수있다. *소피스트(여러사람들 이름) vs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너 자신을 알라. 악법도 법이다. 소피스트는 절대적 진리를 인정하지 않았다. 상대적 진리만 인정 .. 더보기
[동양철학사] 3 -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성리학 - 격물치지, 심성론, 경세론 성리학(신유학)은 주희,주자로부터 시작되어 이황, 이이 그리고 조선왕조 500년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성리학은 1500년 전에 죽은 맹자의 부활이라고 말한다. -> 우주만물을 설명하기 위해 성리학은 理와 氣로 설명하는 학문,이기론적 학문. 리 : ㅇㅇ 다움. 인간. 돌의 단단함. 만물을 만물답게 보이게 하는것, 형의상, 만물의 원리 기 : 뼈와 살로 구성되어있음. 형의하, 만물의 재료 리가 기보다 중요. 조선의 정책 : 사대 교린(리 : 중국, 유학, 양인,문반,사농,남자 기 : 오랑캐, 불가,도가, 천인, 무반,공상,여자) -> 경세론(이기론적 질서를 세워 세계를 다스린다) 성리학의 정책철학은 경세론이다. 성리학을 그대로 이은 위정척사파 : 기에 오랑캐에다가 서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