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진기의 인문학강의/서양철학사1

[서양철학사2] 2 - 공리주의

공리주의

 

존스튜어트 밀(질적 공리주의) : 배부른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 아버지가 제임스 밀, 아버지의 친구가 밴담, 아버지의 혹독한 교육으로 어린시절이 없었다고 한다. 영국 사회주의자라고 불리고, 차티스트 운동을 이끈다. 자신의 부인을 굉장히 사랑함.

제레미 밴담(양적 공리주의) : 최대다수의 최대의 행복 -> 유언 박제해달라고 한다.

 

신흥상공업자가 산업자본가로 산업혁명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시민혁명으로 민주주의가 시작되므로써

근대사회가 된다.

 

산업자본가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등장한다.

 

1. 자유주의 - 아담스미스 -> 시장만능주의 -> 빈부격차 심화

2. 공리주의 - 벤담, 밀

3. 사회주의 - 마르크스(1818~1883)

 

*공리주의(힘들여 일하는자의 이익을 대변한다)

공리성 : 가급적 많은 사람에게 많은 쾌락을 주는 행위가 선한 행위이다.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대단히 진보적임) => 복지국가와 민주주의에 영향을 미침.

=> 쾌락주의/결과주의/총량주의

 

*쾌락주의의 비판 - 동물과의 차이

쾌락이 윤리적 판단의 기준이라면 쾌락을 느끼지 못하는존재(식물인간,배아)는 윤리적 주체가 될수 없다. 피터싱어(생명주의자) : 종차별에 반대한다.

 

인간은 쾌락과 고통의 군집아래에 놓여있다. -> 동물과 다를바가 없다

=>밀 : 우리는 정신적 쾌락, 인격의 존엄을 바탕으로 한 쾌락이기에 동물과 다르다.

 

*결과주의의 비판 - 과정에 대한 문제

과정에도 정의가 존재한다.(사다리 타기)

 

*총량주의의 비판 - 사회적 소수자

사회적 소수사(기회가 적은사람)의 문제가 발생할수있다

 

공리주의는 동양의 묵가와 같다.

 

헤겔

*헤겔(1770~1831)

헤겔철학의 목표 : 국가를 최고의 지위에 올려놓자(국가주의)

헤겔은 국가를 절대정신으로 본다.

 

역사는 절대정신의 자기 전개과정이다.

 

국가주의 : 완벽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헤겔은 개인의 자유의 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국가의 발전과정이 개인정신의 발달 과정이라고 보며 국가의 성립부터 역사의 시작이라 보았다.

 

*변증법*

- 모든 사물은 변화, 발전한다.

- 모든 사물은 모순(자기실현이 자기소멸인 상태)을 가진다.

- 양적변화가 축적되면 질적전환이 일어난다.

 

지양 = 한단계 더 발전하기 위한 자기부정

 

정-성부-계란-

반-성자-계란을 깨고 나올때

합-성신-계란을 깨고 나온 병아리

 

어떤 대상으로 부터 낯섬을 느끼는것이 소외이다.

 

사회,역사적 윤리교육 강조

 

사회계약설을 비판함(사회계약설은 국가를 수단으로 여기기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