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진기의 인문학강의/서양철학사1

[서양철학사1] 4 - 중세철학, 근대철학

중세철학

 

중세  : 서로마 멸망(476년)부터 ~  동로마 멸망(1453)까지의 천년중세.

 

중세 : 인간(이성,철학) < 신(신성,신학). 철학은 신학의 시녀, 봉사인 시대이다.

 

이때의 철학자.

1. 아우구스 티누스(중세시작때),플라톤(이원론,4주덕) - 신학에 봉사

2. 토마스 아퀴나스 (중세끝날때),아리 - 중용의덕 -> 종교의덕(믿음, 소망, 사랑), 목적론적 인간관(하느님이 우릴 쓰실 목적에 있어 만들었다)

-> 그리스철학을 이용하여 교리의 체계화 시키는데 일조한다.

 

"신학"

구약성경, 창세기 - 태초에는 신(GOD, 유일신, 인격신)과 혼돈만 존재.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서 신이 인간의 모습을 하고 나옴. 인간중심의 사고로 돌아감. 르네상스의 시작. 신이 인간에게만 자유의지를 줌. 그것을 남용하고 원죄를 지어 인간은 속죄를 하여 신에게 돌아가려고함. 여기까지는 유대교, 이슬람교와 동일하지만. 기독교가 되는것은 여기서 신이 인간이자 신인 예수(대속)를 통해 신으로 가라는것이 기독교의 시작이다(신약성경).

즉, 기독교의 핵심사항은 유일신, 자유의지, 남용, 원죄, 대속이다.

 

이제 중세의 철학은 어떻게? 속죄할것인가 이다.

 

*르네상스의 촉발점 - 동양에 대한 열등감의 발현*

메디치 가문.

 

실크로드를 통해 비단, 도자기, 추후(고기의 비릿내를 없애기 위한 향신료), 차(tea)가 유입된다.

이탈리아의 상인 부르주아가 대학을 만들고 그중의 교부중 하나인 토마스 아퀴나스가 오게된다. 그곳이 스칼라이고 신학을 가르치고 체계화 시켰다.

 

토기 - 700도 이하, 물을 못담음(흙성분이 남아있음), 씨앗을 담음. 건조한상태에 저장위해서.

도기 - 1000도 이하

자기 - 1300도 이상

 

세계 3대의 사과 : 1. 이브의 사과 2. 페리스의 사과 3. 윌리엄 텔의 사과 4.뉴턴의 사과

 

근대철학 - 프란시스, 베이컨

 

*프란시스 베이컨(1561~1626) - 귀납법, 아는것이 힘이다.

변호사, 하원의원, 검찰총장, 대법원장 역임

영국 경험론의 출발자

유용한 경험과 유용하지 않은 경험이 있다. 유용하지 않은 경험이 나온 이유는 선입견과 편견에 사로잡힌 우상이다.

선입견과 편견에 사로잡힌 경험 4가지.

1. 동굴의 우상 - 우물안의 개구리,

2. 시장의 우상 - 말장난, 천사, 용, 드라큘라는 없다.

3. 종족의 우상 - 의인화, 모든것을 사람처럼 생각, 중세의 미신적 사고(점성술)로부터 탈피

4. 극장의 우상 - 특정인의 권위에 넘어가는것, 광고. 교황의 말이 모두 진실일 것이라고 생각.

-> 관찰과 실험을 통해 선입견과 편견을 벗겨냄. 즉, 중세의 사고로부터 벗어나자.

 

영국 - 경험론 <- 소피스트(감각적 경험을 통한 그것의 유용성이 선악의 판단기준이다) : 경험은 유용하기 때문에 중요. 

대륙(독일,프랑스) - 합리론

 

 

*르네 데카르트(1595~1650) - 연역법, 사유가 곧 존재이다.(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이 둘은 근대철학의 시초 : 신의 중심이서 인간으로 돌려노았다.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감.

-> 인간의 본질을 지식과 사유로 바라봄으로써 근대적 이성이 깨어남.

도구적 합리성이 가지고 자연을 극복하고, 개척해나가는 인간이다.

 

논리학의 아버지 - 아리, 3단논법(연역법) : 대전제(모든 사람은 다 죽는다) - 소전제(너도 사람이다) - 결론(너도 죽는다)

but, 베이컨은 3단논법의 약점, 대전제가 잘못되면 결론도 잘못된다고 비판한다.

-> 귀납법(소전제로부터 대전제를 끌어내자, 끊임없이 관찰과 실험을 하자)

 

모든 백조는 흰색이다 - 확률적 진리, 우연적 진리(칠면조의 우화)

 

but, 데카르트는 이를 경험적 명제로부터 선험적 결론을 끌어냈다고 비판. 즉, 귀납법으로는 진리에 도달할수 없다. 데카르트는 대전제만 맞다면 결론도 맞다. 그러기에 대전제를 끊임없이 "의심"해야한다. 그러나 의심할수 없는것은 "대전제를 의심하는 있는 존재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의심할수 없다. 거기서 부터 모든것이 출발하는것이 사유의 제 1법칙이며, 모든 것을 의심하여 풀어나가기에 방법적 회의.

 

본유관념 = 선험적 사유 - 인간은 경험전에 어떤 사유를 가지고 있다.

대륙의 관념론의 출발점.

 

 

데카르트의 라이벌은 베이컨이 아니라 홉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