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진기의 인문학강의/서양철학사1

[서양철학사1] 2 - 플라톤

*플라톤

- 이상주의자, 관념주의의 아버지*

 

화이트 헤드 : 모든 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주석에 불과하다 

 

현실세계(고등학교,경험세계)와 IDEA(서울대,이성세계)로 나눈다.

-> 플라톤은 이성을 중시한다.

 

아무도 꽃을 그릴수없다. 우리는 다만 튤립, 장미, 해바라기를 그릴뿐이다. 꽃은 우리의 관념에 있다. 현상이 중요한것이 아니다 사물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질이 필요하다.

 

공간,현실,경험 - 면 - 선 - 점(이데아) -> 이데아 없이 현실을 설명할수 없다.

 

동굴 안의 죄수의 비유 : 책(IDEA,내세) 그림자(현실,현세) -> 이원론 -> 중세기독교(하느님을 빛으로 표현, 본질은 볼수없고 경험만 있을뿐)

 

현실세계 -> 이데아(궁극,영원,아름다운곳) 이를 위해선 정의로운 인간이 되어야한다 : 목적론적 역사관

변화발전하면서(변증법) 최종의 인륜단계로 나간다 -> 헤겔

공산주의 -> 맑스

 

이를 비판한것은 칼 포퍼(열린사회와 그적들)이다.

 

정의로운 인간, 정의로운 국가(BY 초인,철인정치  VS 민주정 - 중우정치)

 

머리 - 지혜 - 이성 - 통치

가슴 - 용기 - 기개 - 무사

배 - 절제 - 정욕 - 생산

이 3주덕을 갖추게 되면 정의롭게 되고 4주덕에 달하게 된다.

 

1. 부인공유제

2. 통치계급은 사유재산을 가져선 안된다.

 

플라톤이 중시한것 조화와 균형, 제일 싫어하는것 부조화

 

*정리*

플라톤은 초인과 철인이 나타나 국가를 정의롭게 만들어야한다고 보았다. 그정의로운 국가라는것은 통치계급이 지혜롭고, 무사계급은 용기있고, 생산계급은 절제해야한다고 보았고 그럴때 비로소 인간이 정의로워 질수있고, 인간이 정의롭다는것은 이성은 지혜롭고, 기개는 용기있고, 정욕이 절제될때 우리는 4주덕을 갖춰 현실세계에서 이데아로 갈수있다고 보았다.

초인,철인 정치(귀족정치)였기때문에 민주정(중우정치)에 반대했고 여기서 귀족들은 보다더 높은 도덕성이 요구되어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원형이 된다. 부인공유제, 통치계급 사유재산 금지를 주장했다. 오로지 지배계급은 공리에 의해서만 움직여야한다고 봤다. 가장 중요한건 조화와 균형이가 제일 싫어한것은 부조화다. 이원론과 이상주의자, 이 둘은 중세기독교에 영향을 주며 이데아는 관념속에 있다. 관념론에 아버지

 

소크라테스 - 플라톤은 모두 아테네 사람이라 펠로폰네소스 전쟁(28년동안)에  참여  이후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전쟁에서 아테네의 말라리라로 인해 스파르타가 이기고 힘이 약해진 스파르타를 테베의 침략으로 스파르타가 몰락하게 된다. 그이후 유목국가인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2세가 테베를 몰락시키게 된다.

 

*농경국가 - 토지와 노동력을 위해 전쟁, 유목국가 - 목초지 확보, 약탈위해 전쟁

몽고 - 우리나라에 와서 제일 먼저한것이 다루가치(약탈기구) 설치, 2곳은 직접 통지(개마고원, 제주도) 목초지를 위해서. 

 

우리나라 약탈품 : 1. 여자(얼굴이 하얗고 손이 곱다) 2.매

 

몽고는 서쪽으로 폴란드까지 진출, 러시아의 아름다운 도시를 전부 불태우고 풀을 심는다..

유럽인은 몽고를 무섭게 바라봤고 그래서 마녀사냥이 시작된다.

 

몽고가 13c에 세계를 장악한 이유 : 세계적으로 온도가 2도올라가 고비사막이 목초지로 많이 변해 말이 많이 자랐다.

 

필리포스 2세의 주치의 : 니코마코스, 니코마코스의 아들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들 : 니코마코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서양최초의 윤리학 책(아리스토텔레스의 학을 윤리학으로 정의)

 

4주덕의 덕은 '탁월함'을 의미한다.

 

중용의 덕(시공간적 덕) : 극좌와 극우중에서 이시대에 가장 적합한 방안을 채택하는것.

즉, 1. 산술적 평균이 아님 2. 주관적이 아님.

 

아리는 중용의 덕이 반복되어야 한다. 그것이 습관이 되고 내면으로 들어오면 행복해 진다고 보았다.

 

주지+주의 : 알면 덕이 생기고 행복해진다.

그리스 철학의 대명제 : 지덕복 합의설완성

 

교육의 목적은 지식의 전달만이 아니라 의지의 배양이다 : 교육학의 아버지 아리

서양철학과 서양교육의 기본적 배경.

 

목적론적 존재론 : 인간은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났다.

 

*정리*

일원론, 현실주의자, 중용의 덕의 아리는 중용의 덕의 반복으로 습관이되고 내면으로들어오면 행복해진다고 보았고, 지덕복 합의설의 완성, 주지+주의의 교육학의 아버지, 목적론적 존재론을 통해 인간은 존재 목적은 행복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