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의 인문학강의/서양미술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양미술사] 4 - 인상파 & 후기인상파 & 현대미술 1. 인상파 인상파를 빛의색의 마술사라고 표현한다. 색의 명확한 대비와 보정효과 전통적인 원근의 구도를 부수고, 색의 마술사로써 속세를 그린 화가들이다. *마네 - 인상파의 문을 열었다. 풀밭위의 점심식사(오르세 미술관) 당시 부르주아의 모습을 담은 그림으로써 부르주아들에게 비판을 많이 받았다. 올랭피아(워싱턴 국립 미술관) 명확한 색채대비를 통해 표현한다. 그림의 여인은 창녀이다. 티치아노 - 우르비노의 비너스 *모네 - 인상파의 문을 활짝 열었다. 양산을 쓴 모자(오르세 미술관) 형태가 없다 -> 빛이 번지면 형태가 없다. 루앙 대성당 연작 빛과 색의 차이 - 빨,주,노,초,파,남,보를 빛으로 다 섞으면 투명해지지만, 물감으로 다 섞게되면 검정색이 된다. *피사로 나무가지를 꺽는 여인 인상파 이후에,.. 더보기 [서양미술사] 3 - 낭만파 & 사실주의 1. 낭만파 낭만은 슬픈것. 나폴레옹은 프랑스 혁명의 상징이였는데, 이후 그 스스로가 왕이되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자. 1815년 빈에서 왕들이모여 국제체제를 이룬다 "앞으로 시민혁명이 일어나면 각국의 왕이도와 그것을 막자" 신고전파는 이상을 현실에 담아내고자 했던것이 예술의 목표라고 보았고, 그 원동력이 바로 이성이였다. 낭만주의는 우리가 꿈꾸었던 이상을 현실에 실현하고자하는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고, 현실을 도피하게 된다. 그러므로써 자연, 개인의 내면세계, 예술지상주의 - 극적장면 연출 하면서 이성이 아닌 감정을 담아내는 그림을 그리게된다. 즉, 순수 예술 지상주의로 넘어가게 된다. 초기에는 혁명의 실패로 좌절을 다루는 그림이 나오고 이후, 개인의내면, 자연, 감정을 담은 그림이 나오.. 더보기 [서양미술사] 2 - 로코코 & 신고전파 1. 로코코 로코코라는 말뜻은 조개무늬를 뜻한다. 로코코는 오직 프랑스, 귀족이다. 즉, 프랑스 귀족의 사치와 화려미가 꽃피운 시기이다. 루이 14세(절대왕정)이 죽고 난뒤(1715년)부터 프랑스 혁명(1789)년 까지 다시말하면, 18c 프랑스 귀족들의 시대였다. *와토 키테라섬의 순례(루브르 박물관) 키테라 섬으로 미의여신의 거품이 떠밀려왔다고한다.(전설) 귀족들이 키테라 섬에서 놀다가 배타고 떠나려는 그림을 그렸다. *프라고나르 그네(런던 월레이스 박물관) 일반적인 해석은 늙은 남편이 젊은부인과 결혼했는데 그 부인이 다른 남자와 바람피는 장면이라고 한다. *윌리엄 호가든 결혼식 후 2. 신고전파 신고전파는 간단히 말하면 "구라"라고 표현 할수있다. 나폴레옹의 그림을 보면 1. 나폴레옹은 원래 키가작.. 더보기 [서양미술사] 1 - 바로크시대 바로크(절대왕정기)하면 17c(1600년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 이후 로코코(귀족)시대로 흘러간다. 그래서 바로크 시대에는 남성적인 역동성이 중시되는 그림이 나타난다. 이후 로코코시대에는 여성적인 화려함이 중시되는 그림이 나타나게 된다. 바로크의 말뜻 "삐뚤어진 모양의 진주" - 그리스,로마시대의 조화와 균형미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르네상스가 바로크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마니에리스모가 등장하게된다. 폰트로모-십자가에서 내리심 예수의 모습이 비현실적이고, 예수를 바치는 여자의 얼굴과 옷을 벗고있음을 이유를 알수가 없다. 그리고 주위의 천사의 모습도 확신하기가 어렵다. 파르미자니노 - 긴목의 마돈나 마돈나의 오른쪽은 사람들이 가득차 있고, 왼쪽은 텅 비어있다. 조화와 균형미가 깨져있음을 알수가있다. .. 더보기 [서양미술사] 그리스미술 라오콘과 아들들 라오콘과 아들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 신화를 알게 되면 미술에 대해서도 더 큰 관심을 가질거라고 생각을 하며, 뒤에 첨부로 설명을 하겠다. 조각상을 보면 인물의 표정이나 근육, 형상들이 정말 살아있다고 느껴질만큼 정밀하고 생생히 보인다. 참고로 라오콘의 오른팔은 원래 잘려있는체로 있었는데 미켈란젤로가 오른팔은 저렇게 생겼을것이다 하여 붙였다고 한다. 사모트라케의 니케(승리의 여신) - 루브르 박물관 니케의 모습을 보면 나이키를 떠올릴수 있을것이다. 파르테논 신전 그리스는 로마에비해 건축에서는 뒤떨어 진다고 평을 받는데 그이유는 여기에 있다. 1. 2층이 없어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수가 없다. 2. 기둥으로 인해 실면적이 줄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기둘을 보면 한국에서 그런.. 더보기 [서양미술사] 이집트 미술 호렘헤그왕묘 벽화(BC 1300) 이집트 미술을 보면 이상한 점이 들것이다. 다름이 아니라 얼굴과 발, 팔은 옆쪽을 향하고 있고 눈, 몸은 앞쪽을 향하고 있다. 왜이런것일까?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알타미라 동굴벽화(BC 15000) - 인류 최초의 미술시작 첫번째 생각으로는 이집트 미술이 그만큼 발달하지 못했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이 알타미라 동굴벽화를 보면 그게 아니라는것을 알수가 있다. 소의 형상이 정확하게 그려져 있기 때문에 호렘헤브왕 벽화를 실력이 부족하여 그렸다고는 볼수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그림이다. 네바의 정원(BC 1400) - 런던 대영박물관 여기 네바의 정원작품을 보면 또 이상한 생각이 들것이다. 가운데 있는 호수를 보면 분명 위에서 내려다 보며 그린것 같지만, 그 안에 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