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 격물치지, 심성론, 경세론
성리학(신유학)은 주희,주자로부터 시작되어 이황, 이이 그리고 조선왕조 500년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성리학은 1500년 전에 죽은 맹자의 부활이라고 말한다. -> 우주만물을 설명하기 위해 성리학은 理와 氣로 설명하는 학문,이기론적 학문.
리 : ㅇㅇ 다움. 인간. 돌의 단단함. 만물을 만물답게 보이게 하는것, 형의상, 만물의 원리
기 : 뼈와 살로 구성되어있음. 형의하, 만물의 재료
리가 기보다 중요.
조선의 정책 : 사대 교린(리 : 중국, 유학, 양인,문반,사농,남자 기 : 오랑캐, 불가,도가, 천인, 무반,공상,여자) -> 경세론(이기론적 질서를 세워 세계를 다스린다)
성리학의 정책철학은 경세론이다.
성리학을 그대로 이은 위정척사파 : 기에 오랑캐에다가 서양과 왜를 포함한다 -> 왜양일체론
하은주 춘추 전국 진(분서갱유) 항우,유방 - 전한(유학부활), 신(bc,ac 기준), 후한, 삼국지, 위진남북조, 수(불교) 당(불교) 송 원 명 청
분서갱유 - 당시 유학자들을 다 죽임, 유학 책도 다 태움
공자,맹자,순자는 진나라 앞에서 있었기 때문에 선진유학이라 부른다.
한나리때 유학은 옛날 없어지고 태워진 공,맹,순의 책을 복원하고 그때의 철학을 가르쳤기대문에 훈고학(경서 복원, 해석 -> 보수적 학문)이라 부른다.
조조 = 도가 + 법가
유비 = 유가
제갈량 = 법가
성리학에 영향을 주는 3가지 : 1. 맹자(성선설) 2.선종 3. 도학자(리설)
인간(리,기)도 군자(성인)가 되어야한다.(그러기 위해서 존천리, 거인욕, 거경궁리)
기 : 육체에서 욕이 나온다.
하늘의 이치를 알고 욕망을 제거하자.
*성리학의 가장중요한것 : 격물치지 - 모든 사물에 만남에 있어 올바르게 도달함, 선행후지를 제일비판(경거망동), 선지후행 강조. 여기서 페리에를 페리에 답게 만드는것은 무엇인지 연구해야됨(궁리), 후천적인 이론학습 과정을 통하여 만물의 '이'를 탐구 -> 지
양반중에 문반이 정치하는 문치.
성릭학을 신진사대부가 받아들임(성리학이 가장 진보적임)
고려 : 지방호족(왕건) -> 문벌귀족 -> 무신정권(무력정치) -> 권문세각(금권정치)
고려시대 사대부들이 꿈꾼것 : 문치 -> 엘리트주의
*성리학자는 마음을 두개로 나눔.
1. 성 - 미발한 마음, 인의예지의 4덕,선, 즉리, 도덕성, 인간이 인간다우면 도덕성이 있다.
2. 정 - 기발한 마음,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 -> 사단, 희노애구애오욕 -> 칠정
성->정으로는 외부사물과 접촉을 하면 사단칠정이된다.
*정리
성리학은 이기론을가지고 심성론을 분석하고 경세론을 편것이다.
이황이 강조한것 : 거경궁리(경의자세로 리를 탐구한다), 경 : 내마음이 어떠한 외부사물과 접촉하지 않는것
*양명학
왕수인 : 심즉리설 - 하늘의 이치는 내 마음에 있다.(관념론)
주자 : 성즉리설 주장.
즉, 왕수인은 사물의 이치는 내 마음에 있다.
심을 성, 정으로 구분할수 없고
주자 : 하늘의 이치가 사물에 있으면 리이요 마음에 있으면 성라고 했다.
왕수인 : 물에는 이가 없으며, 이는 오직 마음에 있으며 마음은 성이고 또한 정이다.
-> 리는 선한것으로 인간의 마음은 이미 선으로 가득차있다(양지양능)
양지 : 배우지 않고도 알수있는것, 양능 : 배우지 않고도 할수있는것
양지를 던지지 못한것은 사욕때문이다.
*맹자의 격물치지
주자 : 사물을 만나 그 사물에 있는 하늘의 이치를 깨닫는것.
왕수인 : 격물치양지설 - 내마음의 선을 그 사물에 그대로 투영시키는것.
성리학, 양명학 모두 사욕을 극복해야한다.
성리학은 인의예지, 성, 리를 중시했고, 양명학은 희노애락이 인의예지와 같다고 보았다.
양명학은 중종때 들어오게되어 선조때 성행하게 된다. 이후 송시열의 서인정권이 등장하면서 사문난정(빨갱이)으로 허균등 양명학이 쇠퇴한다.
동인(이산해) -> 남인(정약용,정약전), 북인(광해군,홍의장군 곽재우,임진왜란때 의병일으킴)
서인(정철) -> 노론(송자,송시열,인조반정), 소론
으로 갈라진다. 노론이 우리나라를 먹는다.
노론과 소론이 갈라진 이유 : 북인 완전히 조지자 -> 노론, 살려주자 -> 소론
결국 노론의 승리로 북인이 완전이 전멸하자. 노론이 여당이되고 남인이 야당이 되어 정치를한다. 소론애들은 양명학을 하며 시골로가고 노론은 주자, 성리학만 하게된다. 남인애들은 기독교를 하게된다.
남인은 딱 한번 장희빈, 숙종때 집권한다 그리고나서 정조때 집권한다.
정재두가 강화도에가서 양명학을 퍼트린다. -> 강화학파
이후 유득공의 발해고, 일제시대 우리말 운동의 박은식이 그 계열을 잇는다.
노론은 대부분 친일파가되지만 소론은 친일한 사람이 없다.
양명학은 임진왜란 이후 철저히 배척되는데, 임진왜란때 노론의 집권으로 신분제질서가 흔들려서 노론은 보학과 예학을 중시하며 성리학이 보수적이고 관념적으로 바뀌게 되는 한계를 맞게된다.
양명학 : 효도의 이치는 부모에 있는것이 아니라 내마음에 있는것이고 효도하는 이유는 예법에 있는것이 아니라 효도를 하면 기쁘기 때문이다.
*고증학
(명나라 말과 청나라 초) - 생각을 증명하는 학문 -> 공맹으로 돌아가자.
공맹은 도덕론자가 아니라 실천자였다.
조선에 들어와서 실학이 된다(유가를 받아들이자).
'최진기의 인문학강의 > 동양철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철학사] 2 - 도가, 법가 (1) | 2020.03.27 |
---|---|
[동양철학사] 1 - 유가(공자,맹자,순자)철학사 (0) | 2020.03.27 |